지금 제일 맛있는 겨울 먹거리 벌교 꼬막과 장흥 매생이

기름진 갯벌에서 조개는 통통하게 살이 오르고, 바닷물고기는 튼실해지며

이성훈 | 기사입력 2020/01/27 [12:46]

지금 제일 맛있는 겨울 먹거리 벌교 꼬막과 장흥 매생이

기름진 갯벌에서 조개는 통통하게 살이 오르고, 바닷물고기는 튼실해지며

이성훈 | 입력 : 2020/01/27 [12:46]

[이트레블뉴스=이성훈 기자] 겨울바람이 차가울수록 겨울 바다는 오히려 맛이 깊어고 기름진 갯벌에서 조개는 통통하게 살이 오르고, 바닷물고기는 튼실해지며, 차가운 물속에서 해초는 연하고 부드러워진다.

 

▲ 벌교 꼬막정식    

 

지금이 아니면 맛보지 못할 바다의 겨울 진미가 있으니, 바로 꼬막과 매생이다. 냉장·냉동 기술이 발달해 사시사철 먹을 수 있다지만, 제철에 먹는 맛에 비할 바 아니다. 꼬막 하면 떠오르는 곳이 벌교다. 부드러우면서도 쫄깃한 맛이 일품인 꼬막은 지금이 가장 맛 좋고 많이 날 시기다.

 

▲ 꼬막으로 넘쳐나는 벌교 시장 거리

 

지난 주말에 찾은 벌교에는 꼬막 자루가 장거리에 수북이 쌓여 있었다. 꼬막은 세 종류가 있다. 우리가 흔히 먹는 새꼬막은 똥꼬막이라고도 하며, 껍데기에 난 골의 폭이 좁고 표면에 털이 있다. 제사상에 오르기 때문에 제사 꼬막으로도 불리는 참꼬막은 고급 꼬막으로, 껍데기가 두껍고 골이 깊다.

 

▲ 참꼬막과 새꼬막 

 

새꼬막은 배를 이용해 대량으로 채취하고, 참꼬막은 갯벌에 1인용 뻘배(널)를 밀고 들어가 직접 캔다. 완전히 성장하는 데 새꼬막은 2년, 참꼬막은 4년이 걸린다. 값도 참꼬막이 새꼬막보다 5배 정도 비싸다. 새꼬막은 쫄깃해서 무침이나 전으로, 참꼬막은 즙이 많아 데쳐서 먹는다. 피꼬막은 새꼬막이나 참꼬막보다 2~3배 이상 크다.

 

▲ 꼬막탕수육 


벌교에서 꼬막을 먹는 가장 대중적인 방법은 꼬막정식을 내는 식당에 가는 것이다. 한 집 건너 하나가 꼬막정식을 파는 식당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1인당 2만원 정도면 꼬막을 배불리 먹을 수 있다. 데친 참꼬막, 꼬막을 듬뿍 넣고 부친 전, 갖은 채소를 곁들여 매콤하고 새콤한 회무침, 새꼬막을 푸짐하게 넣은 된장찌개 등이 나온다.

 

▲ 꼬막회무침

 

나중에 공깃밥을 주문해 참기름 한 숟가락 둘러 비벼도 별미다. 꼬막탕수육은 아이들이 좋아한다. 식당 주인은 꼬막을 넣고 끓이다가 거품이 나면 바로 건져야 맛있다고 귀띔한다. 꼬막이 껍데기를 벌릴 때까지 삶으면 질겨지니 주의한다.

 

▲ 소설 태백산맥 문학거리 


벌교는 소설 《태백산맥》의 배경이 된 곳이다. 벌교역 앞으로 소설태백산맥문학기행길이 있다. 2011년 조성된 이 거리에는 피아노학원, 문방구 등이 개화기 건물 속에 들어섰다. 사람들이 가장 먼저 찾는 곳은 구 보성여관(등록문화재 132호)이다.

 

▲ 보성여관  

 

일제강점기에 지은 목조건물로, 판자벽에 함석지붕을 올렸다. 《태백산맥》에서는 남도여관으로 등장했으며, 빨치산 토벌대장 임만수와 대원들의 숙소로 사용됐다. 보성여관은 복원 사업을 거쳐 2012년 카페와 숙박 시설로 다시 태어났다.

 

▲ 보성여관 내부    


보성여관 옆 삼화목공소는 1941년에 지은 건물로, 지금은 목수 왕봉민 씨가 운영한다. 1955년 선친이 운영하던 목공소를 물려받았다. 골목을 따라 조금 가면 화폐박물관으로 운영되는 보성 구 벌교금융조합(등록문화재 226호) 건물이 있다.

 

▲ 삼화목공소    

 

《태백산맥》에서는 금융조합장 송기묵과 현 부자네 집안사람인 남도여관 주인 현준배가 염상진 부대의 손에 죽는다. 태백산맥문학관, 소화의집, 현부자네집 등 《태백산맥》의 무대를 답사해도 의미 있을 듯싶다.

 

▲ 벌교 금융조합    


벌교 옆 장흥에서는 매생이가 한창이다. 매생이는 장흥과 완도, 고흥 등에서 나지만, 올이 가늘고 부드러우며 바다 향이 진한 장흥 내전마을 매생이를 최고로 친다. 내전마을에서는 모두 24가구가 매생이밭 35ha를 일군다. 매생이도 다른 바다 작물처럼 나는 기간이 점점 줄어든다.

 

▲ 현부자네 집    

 

예전에는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채취했지만, 올해는 2월 중순까지 채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바다가 따뜻해졌기 때문이다. 십수 년 전만 해도 김을 양식하는 주민은 매생이를 웬수로 여겼다. 김발에 매생이가 붙는데, 매생이가 섞인 김은 반값도 못 받기 때문이다. 이제는 매생이가 김과 자리를 바꿨다.

 

▲ 내전마을 매생이밭    


남도 사람들은 매생이를 주로 탕으로 먹는다. 옛날에는 돼지고기와 함께 끓였다는데, 요즘은 대부분 굴을 넣고 끓인다. 방법은 간단하다. 민물에 헹군 매생이에 물을 붓고, 굴과 다진 마늘을 넣고 끓인다. 소금이나 조선간장으로 간하고, 참기름 한두 방울과 참깨를 뿌려 낸다.

 

▲ 내전마을 매생이 공장 

 

오래 끓이면 매생이가 녹아 물처럼 되기 쉬우니, 한소끔 끓자마자 불을 꺼야 한다. 장흥 토박이들은 매생이탕에 나무젓가락을 꽂았을 때 서 있어야 매생이가 적당히 들어간 거예요. 매생이는 젓가락으로 건져 먹어야죠라고 설명한다. 정남진장흥토요시장에 매생이탕과 매생이떡국을 내는 식당이 여럿이다.

 

▲ 장흥_매생이국  


최근 들어 매생이가 많이 알려져 홍어나 과메기처럼 전국 음식이 됐다. 서울 같은 대처 음식점에서도 간간이 맛볼 수 있다. 일부 식당에선 매생이로 만든 칼국수, 부침개, 달걀말이 등을 낸다. 뜨끈한 매생이탕을 한술 떠서 입안에 넣는 순간, 바다 내음이 가득 퍼진다. 안도현 시인은 이 맛을 남도의 싱그러운 내음이, 그 바닷가의 바람이, 그 물결 소리가 거기에 다 담겨 있었던 바로 그 맛이라고 표현했다.

 

▲ 매생이전  


요즘 장흥에서 가장 떠오르는 여행지는 정남진편백숲우드랜드다. 장흥군이 억불산 편백 숲에 조성했으며, 숙박 시설과 산책로 등을 갖췄다. 편백 숲을 걸으며 상쾌한 피톤치드 향을 가득 마시다 보면 도심에서 쌓인 스트레스가 사라지는 느낌이다.

 

▲ 정남진편백숲우드랜드 산책로 


우리나라에 선종이 제일 먼저 들어온 보림사에도 가보자. 가지산 자락에 울려 퍼지는 범종 소리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김영남 시인은 보림사의 범종 소리를 듣고 참빗이라는 시를 쓰기도 했다. 먼 보림사 범종 소리 속에 / 가지산 계곡 솔새가 살고, / 그 계곡 대숲의 적막함이 있다. / 9월 저녁 햇살도 비스듬하게 세운. // 난 이 범종 소리를 만날 때마다 / 이곳에서 참빗을 꺼내 / 엉클어진 생각을 빗곤 한다.

 

▲ 보림사 

 

○ 당일여행 : 벌교꼬막정식거리→정남진장흥토요시장

 

○ 1박 2일 여행 : 첫날_벌교꼬막정식거리→소설태백산맥문학기행길 / 둘째날_보림사→정남진편백숲우드랜드→정남진장흥토요시장


○ 관련 웹 사이트

 - 보성문화관광 www.boseong.go.kr/tour

 - 장흥문화관광 www.jangheung.go.kr/tour

 - 보성여관 https://boseonginn.org

 - 정남진편백숲우드랜드 www.jhwoodland.co.kr

 

 

○ 주변 볼거리 : 보성_대한다원 / 장흥_천관산문학공원, 남포마을 / 관광공사_사진제공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추천여행지
관광공사, 봄 따라 강 따라 4월에 가볼만한 추천 여행지 선정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