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트레블뉴스=양상국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이 7월 12일부터 9월 20일까지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공연장에서 ‘2025 이수자뎐’을 총 6회에 걸쳐 개최한다. 이 상설 공연은 무형유산의 전통을 지키며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차세대 이수자들의 무대로, 전통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한다. 최근 포털사이트에서 ‘K-컬처’, ‘전통공연’, ‘문화체험’이 인기 키워드로 떠오르며, 이번 공연은 전주를 찾는 관광객과 시민들에게 큰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2025 이수자뎐’은 공모와 심사를 통해 선정된 6편의 작품으로 구성된다. 거문고 산조, 판소리(고법), 피리정악, 강령탈춤, 통영오광대, 판소리 등 다양한 무형유산 종목의 이수자들이 전통을 기반으로 한 창작과 융합, 옛 형식 복원을 통해 동시대적 가치를 전달한다.
7월 12일 : 거문고 산조 이방실 이수자의 ‘소요(逍遙): 거문고, 전통 속을 자유롭게 거닐다’는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감각적 무대로 문을 연다.
7월 19일 : 판소리(고법) 윤호세 이수자가 북과 장단으로 음악적 서사를 풀어내는 창작 공연 ‘장단 문답(問答)’이 관객을 사로잡는다.
8월 2일: 피리정악 박계전 이수자의 ‘피리로 경기놀다’는 경기 민속음악의 즉흥성과 장단을 삼현육각 편성으로 재해석한다.
9월 6일: 통영오광대 노영수 이수자와 강령탈춤 노병유 이수자 형제가 탈춤, 풍물, 연희를 결합한 ‘화용지무(華龍之舞)’로 역동적인 무대를 선보인다.
9월 13일 : 판소리 적벽가 김소진·정윤형 이수자가 옛 형식을 복원한 ‘적벽가: 복원된 목소리’로 전통의 깊이를 전한다.
9월 20일 : 판소리(고법) 권은경·강예진 이수자의 타악 공연 ‘죽마鼓우’는 북의 예술성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 무대로 대미를 장식한다.
모든 공연은 무료로 관람 가능하며, 매주 토요일 오후 4시에 얼쑤마루 공연장에서 펼쳐진다. 국립무형유산원의 ‘이수자뎐’은 전통예술의 계승과 혁신을 동시에 보여주는 무대로, 전주를 K-컬처의 중심지로 부각시킨다.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공연은 관광객과 지역민 모두에게 색다른 문화 체험을 제공하며, 전주의 한옥마을, 판소리 등 무형유산과 어우러져 더욱 풍성한 여행 경험을 선사한다.
‘2025 이수자뎐’은 전통예술의 가치를 알리고, 차세대 이수자들의 창의적 시도를 통해 무형유산의 미래를 제시한다. 전주를 방문하는 이들에게 여름과 가을,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특별한 무대를 놓치지 말자.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