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6월 무형유산 공개행사 개최

전통무형유산에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별도 신청 없이 관람 가능

박미경 | 기사입력 2024/06/11 [06:26]

서울시, 6월 무형유산 공개행사 개최

전통무형유산에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별도 신청 없이 관람 가능

박미경 | 입력 : 2024/06/11 [06:26]

[이트레블뉴스=박미경 기자]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는 6월, 계절과 전통문화를 함께 누릴 수 있는 행사가 열린다. 서울시는 전통무형유산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무형유산 공개행사를 개최한다. 6월12일(수) 노원구 마들공원에서는 마들농요 공개행사 및 모심기 체험을 열고, 6월22일(토)와 6월28일(금)에는 종로구 서울시무형유산 돈화문 교육전시장에서 ‘나전장’과 ‘입사장’의 작품 제작 과정을 공개한다. 

 

▲ 마들농요 공개행사 포스터 _ 서울시

 

6월12일(수) 11시 노원구 마들공원에서 재현되는 마들농요는 서울에서 유일하게 보존되어 내려오는 농요(農謠)다. 1999년 서울시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번 마들농요 공개행사에서는 마들농요 보유자인 김완수(’99.12.7.인정)를 비롯한 마들농요 보존회 회원들의 공연이 펼쳐진다. 공연이 끝난 후에는 인근 상천초등학교 학생들이 참여하여 모심기를 체험하는 행사도 진행될 예정이다. 

 

▲ 서울상천초등학교 모심기체험

 

종로구 서울시무형유산 돈화문교육전시장에서는 6월22일(토) 14시에 ‘나전칠기’, 6월28일(금) 11시에 ‘은입사 작품’ 제작 과정을 공개한다. ‘나전장’ 정명채 보유자(’04.8.10. 인정)와 ‘입사장’ 최교준 보유자(’06.1.12. 인정)가 시연한다. 전통기법과 재료를 바탕으로 현대에 활용 가능하도록 발전 시켜온 ‘나전장’과 ‘입사장’ 기술을 선보인다. 6월12일(수)~7월6일(토)까지는 나전칠기와 은입사의 다양한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전시회도 개최한다. 

 

▲ 나전장 _ 서울시

 

‘나전장’은 조개 껍데기를 이용하여 나전칠기를 만드는 사람 또는 기술을 말한다. 나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좋은 재료’다. 오색 찬란하고 영롱한 색채를 지니고 있는 나전이 최고급 재료로 꼽힌다. 나전칠기는 고려부터 조선, 대한제국기까지 왕실에서 사용해 온 아주 귀한 공예품이었다. 부의 상징이자 누구나 애장하고 싶은 전통 공예품이다. 1000년이 지나도 영롱한 색채가 변하지 않는 자연 친화적 재료로 오늘날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입사’는 금속 표면에 홈을 파거나 쪼아서 금실이나 은실을 박아 장식하는 기법을 말한다. 우리말로는 ‘실드리다’라고 표현하는데, 이러한 입사 기술 또는 그 기술을 사진 사람을 ‘입사장(入絲匠)’이라고 부른다. 입사장은 정밀한 작업기술과, 기물과 문양에 대한 높은 안목이 요구되는 기예이다. 입사로 장식하는 문양으로는 부귀영화와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소나무, 학, 거북, 연꽃, 문자문 등이 있다. 

 

▲ 입사장

 

서울시무형유산 공개행사는 전통무형유산에 관심이 있는 사람 누구나 별도 신청 없이 관람할 수 있다. 

 

홍우석 서울시 문화재정책과장은 서울시무형유산 공개행사는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운 우리 무형유산을 가까이서 접할 수 있게 해 무형유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하는 사업이다라며 앞으로도 공개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우리 전통 문화유산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널리 알리겠다고 말했다. 

서울 노원구 덕릉로 460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무형유산, 공개행사 관련기사목록
더보기
국내여행
제주관광공사, 2025 놓치지 말아야 할 봄 제주 관광 제안 ①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